본문 바로가기

세상과 어울리기/생태환경 뉴스324

24.5.13~ 1. 가로수 가지치기 전 나무의사에게 진단받아야 2. 지구 가열화↑↑↑…곳곳에 폭염·가뭄·폭우 3. "우리도 케이블카 사업하겠다"...강원도내 6개 시군 도전  4. 도시에서 ‘이타적 화단’을 가꾸는 사람들이 있다  5. 아카시아꽃 만발한 5월... 벌이 안 보인다 6. 올리브 생산대국' 이상기후에...올리브유 30% 넘게 올랐다 7. 녹색-정의당’ 이후의 생명정치8. 지역사랑 탄소 기부로 고향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다  9. 탄소중립 핵심 대안? 멈춰 선 한국 해상풍력   10. 91% 쓰고 9% 남겨주려는 윤석열 정부... 기막힌 상황11. 우리는 정말 기후 위기를 직면할 준비가 되었나  12. '文정책' 5년만에 뒤집어…환경부, 댐 신설 내달 발표  13. 구포역을 경의선 숲길처럼… 서부산 관광 1.. 2024. 5. 13.
24.5.5~ 1. 외국서만 발생하는 줄 알았던 돌발가뭄 20년간 16번 발생 2. 기습적인 ‘돌발 가뭄’ 기후변화로 ‘뉴노멀’ 된다 3. ‘도시’ 기후변화 예측을 위한 실험실 한화, 4. 태양의 숲 11호 ‘탄소 마시는 숲:울진’ 조성 5. 부산 해운대해수욕장 송림공원에 650m 수국 황톳길 조성 6.도로 위에 공원 지었더니 아파트 시세 4억원 껑충 7. "불과 1년 만에"... 사과, 배 이어 미역도 '비상' 8. 개발 공약 없는 선거를 공약하자 서울 한복판이라도 이랬을까? 9. 폐기물의 종착지, 농촌 11. 부산시민단체 "감사 결과로 북항재개발사업 차질 안돼"12. 극히 낮게 산출된 가덕도공항 경제성 평가, 정치적 협잡이나 거래결과 아니다  13. 1.5℃ 상승까지 5년 3개월 남았다 14. 물방개·우렁이 사라지.. 2024. 5. 5.
24.5.3 외래종으로 인한 위협 증가, 종의 손실로 생명나무 가지 절단돼 우리는 6차 대멸종 시대에 살고 있다."외래종으로 인한 위협 증가, 종의 손실로 생명나무 가지 절단돼”부레옥잠, 쥐, 메뚜기 등 전 세계적으로 약 3만7000종의 동식물 종이 새로운 지역으로 확산됐으며, 그중 3,500종 이상이 그곳의 지역 생물 다양성을 위협하고 있다. 세계 생물다양성 협의회 IPBES의 보고에 따르면 외래종은 전 세계 종 멸종의 약 60%에 관여하고 있으며 연간 3920억 유로 이상의 전 세계 비용을 초래하고 있다. 어떤 종이 ​​최악인가?  ▲ 1. 자연(녹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침입 외래종의 예(녹색), 경우에 따라 사람(노란색) 및/또는 좋은 삶의 질(청록색)에 대한 자연의 기여도 있다. 많은 침입성 외래종은 부정적인 교차 영향을 기록했으며, 예시에서는 여러 색상으로 표시.. 2024. 5. 3.
24.4.29~ 1. 올라가는 온도, 치솟는 밥상 물가  2. 단군 이래 최대 토건사업 가덕도신공항, 진화된 '마녀사냥' 판 친다  3. 2024년, 기후소송 불붙는다  4. 사라지는 동해 오징어···갈치·고등어보다 기후변화 영향 더 받는 이유는  5. 엄궁대교 환경영향평가 또 제동… 착공 하세월 6. 차도 날려버린 中 초강력 토네이도…7. “피부가 타는 것 같아” 체감온도 50도 육박…동남아 덮친 폭염   8. 제비   9. 플라스틱, 91%는 폐기물…기후 위기와 '플라스틱'은 한몸통   10. 우리 숲도…기후 스트레스, ‘저출산 고령화’  11. 가덕신공항 건설공사 앞두고 대항동 문화재 실태·발굴조사  12. 남부권 관문공항 위계, 법적 명문화 필요”  13. “미래세대에 염치 있다면 삼척화력 가동 말라”  14. .. 2024. 4.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