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과 어울리기/생태환경 뉴스321

25.4.7~ 1. 임도 없어서 산불 확산 못 막았다는 산림청‥실상은?  2. 산불, 진압에서 기후위기 대응으로 패러다임 전환하자  3. 산불은 괴물이 아니다  4. 두 생태도시의 후진(後進) 이야기, 서울과 대구  5. 가끔 닭고기 먹고 달걀 먹어도…채식주의자 맞아요6. 공간의 민주주의를 지켜내자  7. 팬데믹 5년... 프랑스인들은 왜 도시를 탈출할까?  8. 그 불길 속에서, 살고 싶었던 건 인간뿐만이 아니었다  9. 환경단체 “황강 정비 생태 파괴”… 합천 농민 “홍수 대비 어쩌라고”   10. 하늘 아래 가장 높은 골프장에서 ‘구름 위의 굿샷’ 환경단체 "尹 정권 철저 청산하고 새 정부 기후위기 대응해야""문제를 더하는 지도자와 허비할 시간 없어"윤석열 대통령 파면에 환경단체와 문화단체도 환영의 뜻을 밝혔다... 2025. 4. 7.
25.3.31~ 1. 환경부 4월 멸종위기 야생생물 부처님 머리 닮은 ‘염주알다슬기  2. 산불 발화지점 가보고 깜짝 놀랐다, 대형산불의 진짜 원인  3. 솔방울 뻥뻥 터지며 순식간에 번져  3-1주름진 땅 집어삼킨 자비 없는 ‘괴물 산불’   3-2경북산불 피해지 분석과 임도 비교   4. 갯벌 말뚝박기에 숨이 턱…생태계 영향은 어찌할까  5. 가라앉고 있는 바다위의 신공항, 오사카 간사이 국제공항  6. "꿀벌 수억마리 떼죽음" 초비상…미국 식량안보 흔들릴 판7. 전망대_도시관광의_꽃_(ft.롯뽄기 모리 타워)  8. 최악 산불에도 '아니면 말고' 극우 음모론…가차 없는 처벌을 9. YTN 산림청 대변인 인터뷰 10. 일본 20%도 못 미친 林道·진화대원 평균 61세… 산불 위험은 계속된다(조선) 11. 의성산불 피.. 2025. 3. 31.
25.3.24~ 1. 산청 산불 키운건…기후변화 따른 초목 건조·돌풍·가파른 산세  2. 강민첨 장군이 심은 900년 은행나무도 불 타  3. 되풀이되는 봄 산불...10년간 여의도 138배 산림 잿더미4.한국 산불, 나사 위성에 찍혔다   5. 산불 현장 최악의 상황…남서풍 지속시 '울진 원전' 위협   6. 태양광시설도 통째로 파괴… “멀쩡한 게 하나도 없어요”  7. "한국 산불 대형화가 기후위기 탓? 잘못된 정책에 예산 쓴 산림청이 문제"  8. 소나무가 문제다, 산림청이 문제다. 9. 산불 키우는 산림청, 숲에서 답을 보라  10. 산불 이후의 세계: 신하림 『산불은 마을을 어떻게 바꿨나』  11. 산불로 사라진 산 그리고 삶… 과학이 되살리는 방법  12. 텔레픽스, 생성형AI로 위성 산불영상 분석 결과  1.. 2025. 3. 24.
25.3.17~ 1. 가야대로 BRT 정류장에 정원형 도시 숲 조성  2. 자전거 안장에서 하루가 열리는 ‘휘게’의 도시  3. 세계 최초 물에 뜨는 해상도시, 계획은 거창했는데.  4. 국회, 동아시아 첫 ‘글로벌 해양조약’ 비준…“공해 내 생물 보전”  5. 공깃밥 한그릇 ‘2490원’···일본 초유의 ‘쌀 실종’ 사태6. 캐나다 벌링턴시, 도롱뇽 보호 위해 한 달간 폐쇄“도롱뇽아, 안심하고 길 건너렴”…7. 미기록 곤충 10%가 ‘아열대성’…“기후변화 영향”  8. 장례식도 친환경…日 골판지 관 ‘에코핀’ 무엇?  9. VRE가 석탄 넘어선 미국, “재생이 주력” 선언한 일본-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톺아보기 10.‘고탄소 산업’ 투자한 국내 금융권…기후변화 대응 않으면 45.7조 손실  11. 건물·건축이 일으키.. 2025.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