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과 어울리기/시사만평-주간 쟁점633

25.3.31~ 먹거리 가격 ‘무차별’ 인상…정부는 ‘무방비’올 들어 대형 식품업체 40곳 줄인상…탄핵 정국 속 혼란 틈타 ‘기습’ 의심작년 1%대 상승 가공식품, 곧 3% 돌파 조짐…정부 관리·감독 부재 비판1일부터 가격 인상 품목 수두룩…‘만우절’ 거짓말이었으면 30일 서울 시내 한 편의점에 다양한 제품이 진열돼 있다. 편의점에서는 다음달 1일 오비맥주와 오뚜기 라면·카레, CJ제일제당 비비고 만두, 하겐다즈 아이스크림, 남양유업 음료, 롯데웰푸드 소시지 등의 가격이 일제히 오른다. 연합뉴스올해 들어 서민들의 먹거리 가격이 무차별적으로 오르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이 급등한 데다 원재료 등 각종 비용이 오른 것이 가격 인상 도미노의 원인으로 꼽힌다.30일 .. 2025. 3. 31.
25.3.23~ "헌법보다 위에 있다"... 尹 지지자들 외치는 '국민저항권'이 뭐길래저항권 개념, '헌법에 명문화' 규정 없고실정법상 권리로 보호된 전례도 드물어4·19나 5·18 등 개별법 통해 인정하기도법조계 "尹 탄핵, 저항권 대상 아냐" 중론"법치 불복이자, 내란·국헌 문란에 불과"이미지 확대보기한국사 강사 전한길(오른쪽)씨가 1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 세미나실에서 열린 국민저항권 긴급세미나에 참석해 기조 강연을 하고 있다. 뉴시스"불의한 재판관들이 불의한 방법으로 (대통령 탄핵) 인용 결정을 내린다면 국민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다. 불의에 맞서서 자유민주주의를 지켜야 한다. 국민저항권을 발동하는 것이 헌법 정신에 딱 맞다."(전한길 한국사 강사, 19일 TV조선 유튜브 채널 '강펀치')"헌재가 딴짓하면.. 2025. 3. 24.
25.3.10~ 연소득 1055만원, 국민 평균의 41%뿐…예술인 절반은 부업 뛴다건축 4261만원·사진 334만원…분야별 격차 커경력 단절의 최대 원인은 ‘예술활동 수입 부족’2024 예술인 실태조사 예술창작활동 개인 소득. 문화체육관광부국내 예술인들이 한 해 동안 예술활동으로 벌어들이는 소득이 1000만원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해 국민 1인당 평균 연소득인 2554만원의 41.3% 수준에 불과한 수치로, 예술인들의 안정적인 수익구조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문화체육관광부가 한국문화관광연구원과 6일 발표한 ‘2024년 예술인 실태조사’에 따르면 2023년 예술인 1인당 평균 연소득은 1055만원이었다. 조사 대상 예술인이 속한 가구 1곳당 평균 연소득도 4590만원으로 조사됐다. 우리나라 가구 .. 2025. 3. 10.
25.3.4~ “극우 세계관, 청소년들 사이에선 이미 주류” 경향 윤지원 기자 , 이재덕 기자 감춰졌던 극우세력 실체 이번에 드러났다” 경향 박송이 기자 반지성주의 병리적 증상에 응답한 젊은 폭도들에 주목해야” 경향 김종목 기자  중도층 60%, “국민의힘은 내란 동조 세력” [시사IN·한국리서치 공동조사]이번 조사에서 자신의 이념 성향이 ‘중도’라 답한 이들은 38%로, 이념별로 보았을 때 보수 33%, 진보 27%를 앞서는 가장 큰 유권자 그룹이다. 그런데 국민의힘에 대한 중도층의 평가가 심상치 않다. 시사인 전혜원 기자 윤석열 두둔하던 그 검사들... 지금 어디에 있나 봤더니이영림 춘천지검장 '망언'으로 본 친윤 검사 현주소 조성식 오마이뉴스 언론이 놓친, 유럽 극우정당이 뜨는 진짜 이유독일 AfD 등 '복지 민.. 2025.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