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과 어울리기/생태환경 뉴스322

25.3.17~ 1. 가야대로 BRT 정류장에 정원형 도시 숲 조성  2. 자전거 안장에서 하루가 열리는 ‘휘게’의 도시  3. 세계 최초 물에 뜨는 해상도시, 계획은 거창했는데.  4. 국회, 동아시아 첫 ‘글로벌 해양조약’ 비준…“공해 내 생물 보전”  5. 공깃밥 한그릇 ‘2490원’···일본 초유의 ‘쌀 실종’ 사태6. 캐나다 벌링턴시, 도롱뇽 보호 위해 한 달간 폐쇄“도롱뇽아, 안심하고 길 건너렴”…7. 미기록 곤충 10%가 ‘아열대성’…“기후변화 영향”  8. 장례식도 친환경…日 골판지 관 ‘에코핀’ 무엇?  9. VRE가 석탄 넘어선 미국, “재생이 주력” 선언한 일본-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톺아보기 10.‘고탄소 산업’ 투자한 국내 금융권…기후변화 대응 않으면 45.7조 손실  11. 건물·건축이 일으키.. 2025. 3. 17.
25.3.10~ 1 국내 생태·자연도 1·2등급 지역 비율 증가  2. 산천어 축제의 윤리를 묻는 당신에게   3. 화명생태공원 일대 친수구역 지정4. 폭염의 원인은 폭염이었다 5. 고수온 직격탄 남해안 수산물…멍게 생산량 45%↓ 6. 지역 어업인 기후위기·경기악화로 경영난 심화…장기방치 선박 늘어나 파산 잇따라 7. 인류세와 동물 권리-서평 8. 부산지역 신문 최근 칼럼에서 읽히는 것 9. 자연유산 노거수와 경관관리  10. K팝 아이돌 기 살리다 지구를 죽였다  11. 생태적 전환을 위한 지적 유산…'브뤼노 라투르 마지막 대화’(책 소개) 11. 사용후핵연료 쌓이는데…원전 수명은 연장?12. 어설픈 환경주의자의 하루 13. 서면교차로 교통섬, 25년 만에 정원 작가 손에서 다시 태어난다 14. 후쿠시마는 지금: 방.. 2025. 3. 10.
25.3.4~ 1 조류독감이 온다   2. ‘이 나뭇잎이 땅을 치유합니다’…세계가 알아봤다3 부산 시민단체 “황령산 유원지 개발사업 환경평가 부실, 백지화해야”  4.부산그린트러스트 이성근 상임이사, “황령산 개발은 지역 침체 해답 아냐”  5.황령산, 바람직한 개발 방향은  6. 강남3구 ‘한성 1·2호기’ 어떨까  7.8.  AI도 기후악당이다  9. 민물가마우지 습격에 지자체 골머리 10. 민주당의 ‘희망고문’을 어떻게 넘어설 것인가?9 “기후위기 시대 가스전은 ‘좌초자산’”…국외 자원개발 사업에 소송 제기  10. “기후 대응 부실” 용인 반도체 단지 승인 취소 행정소송  11. 박형준, 허브도시특별법 침묵한 이재명에 격노 “시민 냉대한 것” 그리고 댓글 조류독감이 온다▲ 2021년 9월5일(현지시간) 인도 .. 2025. 3. 4.
25.2.24~ 1 “낙동강 국가도시공원, 이르면 내년 지정 목표”  2. 개발 멈추고 다시 생명 싹틔운 땅…자연·문화 공존의 場으로   3. “뉴욕·서울도 도심 한복판 공원, 지정 요건 완화할 법 개정 필수”  4, 부산시 “낙동강 국가도시공원,추진에 대한 짧은 논평 두 개의 낙동강 하구  5. 2038년까지 원전 3기 더 짓는다…정부 '11차 전기본' 최종 확정 6. 빅벙커_동서고가도로와 대심도  7. "벌써 수십 곳... 무대책 '트램' 공약 이번에도 반복“8 "새들이 모여들지 않을 수 없는 지역"... 그 섬에 내려진 경고  9. 대한민국, 세계에서 9번째로 지구 많이 괴롭히는 나라  10. 몸에 바른 선크림·샴푸·로션...결국 내가 다시 먹는다?  11, 점포 늘수록 주민 떠나는 ‘핫플 골목’ 딜레마  12. .. 2025.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