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과 어울리기/칼럼 기고

다대포 매립을 반대한다

by 이성근 2013. 6. 17.

 

국제신문 쟁점토론  다대포 해안매립(반) 2001.7.2

 

천혜의 절경이며 생태보고인 다대포의 매립을 두고 부산시와 지역주민간의 논란이 10년을 넘어서고 있다.

 

이미 지난 96년 주민반대에 의해 백지화됐던 다대포의 매립이 또 다시 거론되고 있다. 그동안 다대포는 자연을 바탕으로 한 고유의 가치에도 불구하고 각종 개발로부터 무참히 유린당해왔다. 다대포의 아미산이 정치권과 개발업자간의 유착에 의해 초법적으로 산허리가 잘린 채 방치됐다. 뿐만 아니라 두송반도를 비롯한 다대포해안 일원의 매립으로 산과 바다의 자연성도 파괴됐다. 이제 남아 있는 유일한 천혜의 자연공간마저도 부산시와 해양수산청은 항만의 부족과 지역발전을 명분으로 수장시키려고 혈안이 돼 있다.

 

 

다대포 일원은 그 자체가 자연공원이다. 그럼에도 부산시와 관계당국은 이를 망각한 채 진실성이 결여된 친환경적 부두개발이란 명분을 앞세워 매립 후 시민을 위한 공원까지 조성하겠다며 개발을 강행하고 있다.

 

 

멀쩡한 산을 허물고 남아 있는 바다를 매립하여 친수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은 자가당착적 자기모순이다.더욱이 부산시의 계획은 전혀 검증되지 않은 일부 개발론자의 무책임한 몽상에 불과한 것으로 철저히 시민을 기만하고 있다. 실제 부산시의 다대포 매립은 상황에 따라 매립목적이 변해왔음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결국 다대포 매립은 부두 확충에 대한 수요를 가장한 또 다른 개발에 다름아니다. 궁극적으로 다대포가 지닌 총체적 가치의 상실을 뜻한다.

 

 

향후 다대포의 나아갈 기본방향은 첫째, 다대포가 가진 다른 지역과의 차별성이다. 예컨대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낙동강하구 생태계와의 연관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둘째, 낙동강하구와 이어진 몰운대 화손대 다대포해수욕장의 뛰어난 자연경관을 살려야 한다. 셋째, 다대포가 가진 각종 유·무형 유산의 역사문화성을 따져야 한다. 넷째, 이 일대 해역이 가진 자연의 생산성과 이미 주거단지로 전환된 이 일대의 주민에 대한 환경적 거주성도 검토해야 한다. 단순히 21세기 해양도시로서 부두가 부족하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든 개발을 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논리는 지극히 천박한 개발만능주의의 전형일 따름이다.

 

 

다대포는 ‘다대포’다워야 한다. 다대포의 가치는 어떻게 효율적으로 접근하고 현명하게 이용하느냐에 따라 명암이 달라진다. 그러한 전제는 다대포가 가진 자연적 사회적 시스템이 온전히 유지됨으로써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다대포의 매립계획은 백지화돼야 한다. 시민 대부분이 매립을 반대하고 있다. 시민의 반대가 구체적이라는데 관계당국은 주목해야 할 것이다. 그것은 다대포가 원형을 상실하지 않고 시민의 휴식공간으로서, 생태계의 일원으로 지켜져야 한다는 시민적 합의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