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한 일을 정리하고 다시 판을 짜기 위해 잠시 휴식 시간을 가진다. 바빠서 밀쳐 두었던 막내와 같이 놀아줄 시간을 위해 미루어 왔던 더파크 방문을 시도했다. 특별히 카메라 를 한대 더 준비해서 막내더러 찍고싶은 것을 찍어 보아라 했다. 결과적으로 사진의 일부는 아들이 찍은 것도 포함되어 있다.
참으로 오랜만의 나들이에 아들은 신이 났다. 베낭에 이것저것 먹을 것도 든든하게 꾸린 나들이었기 때문이다.
어린이 대공원에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그 변화가 시민의 나들이며 탐방을 돕기 위한 것인지에는 의문이다. 예컨데 공원관리에 필요한 관리사무실 외 방문자센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누차 이야기 했건만 답이 없었고, 이렇듯 새로이 들어선 신축건물에도 그런 흔적은 없기 때문이다.
수원지 가는 길목 삼거리에 일본전나무 두 그루가 있다. 상록교목으로서 높이 30~50m, 지름 1~1.5m 정도 자란다.
전나무와 구별은 침엽의 끝부분이다. 잎 끝부분이 두 갈래로 갈라진 것이 일본전나무로 수원지 댐마루 사면과 성지교 근처에 몇 그루 볼 수 있다. 잎 표면은 농녹색이고 뒷면에는 2줄의 백색 기공선이 있으며 잎 길이는 2∼3.5cm, 폭은 2∼3.5mm로 전나무보다 잎이 짧고 잎폭이 넓다.
두 그루처럼 보이지만 밑둥에서 갈라져 나와 두 그루로 보인다.
더 파크 출입문과 매표소, 보시다시피 입장료가 만만찮다. 어른 너댓명이 끼면 부담스럽다는 표현을 넘어 선다. 그래서 말이 많다. 요는 그만큼의 값을 하느냐 인데,
만나기로 한 사람을 기다리고 기디리다 .... 못 올 것 같으면 전화라도 진작 주었으면 했다.
여수로에 청둥오리가 날아 올랐다.
격리된 삶과 자유로운 비상이 비교되었다. 자유로운 비상은 분주하다 먹이구하랴 간섭받지 않고 쉬기 위해서는 늘 긴장의 연속이다.
모두 18마리의 청둥오리가 여수로에서 쉬다가 인기척 때문인지 날아 올랐다.
더파크 안내지도를 아들에게 주면서 입구에서 최종적으로 만나기로 했다.
그물무늬기린(Reticulated giraffe) 학명: Giraffa camelopardalis reticulata 서식지: 아프리카의 케냐 북동부, 수단 동부, 에리트레아 먹이: 초식(아카시아잎, 풀, 꽃, 과일, 씨앗 등) 평균수명: 약 25년
그랜트 얼룩말(Grant's zebra) 학명: Equus burchelli bohmi 서식지: 아프리카 북부 짐바브웨이 초식성(풀, 나뭇잎, 과일 등) 평균수명: 약 18년
코요테(Coyote) 학명: Canis latrans 서식지: 중앙아메리카 및 알레스카 먹이: 육식성(작은 포유류, 사슴 등) 평균수명: 12~15년 여우보다 조금 크고 늑대보다는 작은 크기로, 사는 지역에 따라 11kg~20kg까지 나간다.
늑대(Tibetan wolf) 학명: Canis lupus chanco 서식지: 한국, 시베리아, 사할린, 중국 먹이: 육식성(사슴, 양, 쥐 등 평균수명: 약 12~15년
삵( Amur Leopard cat) 학명: Prionailurus bengalensis euptilura 서식지: 대한민국 먹이: 작은 포유류(들쥐, 청설모, 조류 등) 평균수명: 약10~15년
북극여우(Arctic Fox) 학명: Vulpes lagopus 서식지: 북부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아이슬란드, 그린란드 먹이: 육식
평균수명: 5~7년 일부일처제 여름에는 머리, 등, 꼬리와 다리가 갈색, 옆구리와 배는 밝은 베이지색 털로 털갈이를 한다.
사막여우(Fennec fox) 학명: Vulpes zerda 서식지: 사하라사막, 시나이 반도, 사우디아라비아 북부의 사막지대 먹이: 잡식성(전갈, 도마뱀, 곤충, 식물 등) 평균수명: 약 15년
훔볼트펭귄(Humboldt penguin) 학명: Spheniscus humboldti 서식지: 칠레북부에서 페루남부에 이르는 남아메리카 서해안 등 먹이: 육식성(물고기, 특히 멸치, 양미리, 오징어 등) 평균수명: 약 15~30년
미어캣(Meerkat) 학명: Suricata suricatta 서식지: 앙골라 남서부에서 남아프리카 먹이: 육식성(곤충, 작은 설치류, 도마뱀 및 뱀) 평균수명: 12년
동부 회색캥거루(EasternGreat-gray kangaroo) 학명: Macropus giganteus 서식지: 오스트레일리아 동부, 태즈메이니아섬 먹이: 초식성(나뭇잎, 풀, 과일 등) 평균수명: 약 12∼18년
흑표범(Black leopard) 학명: Panthera pardus 서식지: 인도남부, 말레이시아 먹이: 육식성(중소형의 영양, 사슴, 소 등) 평균수명: 약 20~25년
일본원숭이(Japanese Macaque) 학명: Macaca fuscata 서식지: 일본 먹이: 잡식성(과일, 알, 나무껍질, 곤충 등) 평균수명: 25~30년 원숭이류 중 가장 북부지방에 적응해 눈 속에서 생활할 정도로 추위에 강하다. 임신기간은 5개월로 1마리를 낳아 기르는데 보통 2년 주기로 출산한다고 한다.
흰손긴팔원숭이(White handed gibbon) 학명: Hylobates lar 서식지: 중국의 하이난섬과 윈난성, 라오스, 베트남 먹이: 잡식성(과일, 어린 나뭇잎, 곤충, 무척추동물) 평균수명: 약 20년 베트남이나 말레이시아 같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 서식. 손목부터 손끝까지 흰색 털이 나 있는 것이 흰장갑을 낀 것 같아 흰손긴팔원숭이라 불린다.
망토개코원숭이(Hamadryas Baboon) 학명: Papio hamadryas 서식지: 에티오피타, 수단, 아라비아반도, 예멘 먹이: 잡식성(식물질, 곤충, 작은도마뱀) 평균수명: 약 30~ 40년 아프리카의 건조한 사막기후에 살며, 크기는 땅위에서 생활한다.
작은발톱수달(Oriental small-clawed otter) 학명: Aonyx cinereus 서식지: 중국 남부, 인도, 수마트라, 보르네오섬 등 동남아시아 먹이: 육식성(물고기, 개구리 등) 평균수명: 약 12년 수달 종류 가운데 가장 작은 종으로 몸길이가 40∼60cm이며, 꼬리길이는 25∼35cm, 몸무게는 1kg~5.4kg 정도된다. 다른 수달에 비해 지상에서 보내는 시간이 많다.
점박이 하에이나(Spotted hyena) 학명: Crocuta crocuta 서식지: 사하라 사막 이남의 아프리카 전지역 먹이: 육식성(누, 얼룩말, 톰슨가젤 등) 평균수명: 약 12~20년
시베리아 호랑이(Siberian tiger) 학명: Panthera tigris altaica
얼마전 태어난 새끼 호랑이가 어미 한테 먹혀 죽었다. 어미 이름이 용순이라 했든가. 지나해 12월10일 태어나 생후 20일 만이었다, 일반적으로 동물원에서는 새끼 호랑이가 태어나면 사육사의 손에서 길러지는 '인공 포육'을 한다. 이는 어미가 출산을 전후로 극도로 예민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파크는 새끼가 어미의 모유를 먹도록 하는 '자연 포육'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2월 24일 더파크 측은 '일반 동물원에서 보기 힘든 자연포육을 통해 새끼가 건강하게 잘 자라고 있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발표하기도 했다.
사자
아시아코끼리(Asian elephant) 학명 : Elephas maximus 서식지: 동남아시아 먹이: 초식성(풀, 나뭇잎, 과일, 나무껍질, 관목 등) 평균수명: 약 70년
같이 갔던 일행과 헤어진 다음 아들과 재회하여 다시 돌아본 동물들의 상태는 안타까움의 연속이었다. 아들이 찍었던 사진 중 라쿤(Racoon), 검은꼬리 프레리독(Black-Tailed Prairie Dog), 과나코(Guanaco),킨카주(Kinkajou), 몽구스, 호저/산미치광이(African porcupine), 오소리 (Eurasian Badger), 쌍봉낙타(Bactrian camel) ,코아티(Ring-tailed Coati), 바바리양(Barbary Sheep), 와피티사슴(Wapiti), 트리포큐파인/나무타기산미치광이(prehensile-tailed porcupine), 무플론(European Mouflon),다마사슴 (Fallow Deer) 등은 상태가 좋지 못해 빼 버렸다.
불루 텅 스킨크 (학명 :Tillqua gigas 원산지 호주 -잡식성 으로 푸른 혀를 가지고 있어 Blue tongue'이란 이름이 붙었다. 작은 곤충과 광리을 먹고 성격은 유순하다고
샌드피쉬 스킨크 (Scincus scincus- 아프리카 )
자이언트 플레이;드 리자드(Garrhosaurus majar -수단 )
브룩스 킹스네이크 (Lamproetfs getufa -미국) 다른 뱀능 잡아 먹고 독에 대한 내성이 강해 다른 덕사에게 물려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루시스텍 텍사스 렛 스네이크 (Elaphe obsoleta lindhemeri-미국 택사스) 쥐를 사냥하며 성격이 포악하지만 농민들에게 도움 주는 뱀
워트 드래곤(Physignathus cocincinus 동남아시아) 잡식성으로 무리지어 생활
레드테일 보아 (Boa constrictor-남아메리카) 육식성으로 꼬리쪽으로 갈 수록 붉은 색을 띄어 Red tailed 이라 했고 살무사처럼 난태생
알비노버미즈파이톤 (미얀마 ) 성체의 길이는 6~8m
킹스네이크(LAMPROPELTISGETULA-미국) 브룩스 킹스네이크처럼 독은 없지만 다른 뱀을 잡아먹는다
기니피크
포레스트 챌린지에서 즐거운 한 때를 보내는 아들
집에 가자는 아버ㅓ지의 성화에도 불구하고 아들은 놀이에 빠졌다.
로프사파리며, 타잔브릿지는 동물원이 폐장되는 방송을 알리는 시간까지 아들을 붙들어 둔 놀이기구였다.
만남의 광장에 있던 이글루에서
소망나무에 아들이 적었던 희망 "동물원에 동물수를 늘려주세요"
동물원을 나서며 막내에게 소감을 물었다. 못본 동물이 있어서 아쉬웠지만 너무 좋았다고 했다. 그 너무 좋음은 아버지와 같이 시간을 보냄에 대한 것이고, 두번째는 먹을 거리가 많았던 나들이었고, 세째는 그럼에도 동물원에 와서 파충류며 기니피그 등 평소 보고 싶은 것을 보았다는 것이다. 안좋았던 것은 동물들이 힘이 없고, 우울해 보인다 였다. 그리고 계절적 요인으로 전시가 안된 종들을 볼 수 없음었다. 끝으로 생각했던 것 보다 동물이 적었다는 것과 입자룍 어린 마음에도 비싸다는 것이었다.
더파크 끊임없이 말이 많다. 말 많음은 불만이 있기 때문이다. 삼정 더 파크 홈피에 남겨진 글 역시 반증하고 있다.
Only You - Louis Armstrong
'사는 이야기 >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식구들 봄마중 산책하다 (0) | 2015.03.16 |
---|---|
2015 설 후기 사라진다는 것 (0) | 2015.02.22 |
비 내리고 저문 저문날 황령산에서 (0) | 2015.01.29 |
간만의 산책 황령산 갈미봉 자락 > 통일동산 > 자성대공원 (0) | 2015.01.27 |
우리 가족에게 온 새 생명들 (0) | 2015.0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