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에서/오래된 미래313

남천동의 팽나무들 400년된 나무가 있다는 소문을 듣고, 인터넷을 뒤져 위치를 확인하고는 현장으로 갔다. 남천동 수영구 노인복지회관과 봉황파크아파트 근처였다, 웹사이트 다음에서 찾은 정보는 나무보다는 카페의 소개였다. 풍경이 멋진 카페라는 하기사 이 팽나무가 있음으로 해서 카페가 산다고 해도.. 2015. 12. 9.
가덕 눌차의 노거수들 2010년 이후 다시 눌차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환경부 습지사업단과 더불어 정거마을을 생태마을로 만들어 보겠다며 주민들과 어울렸던 때가 2011년~2012년이었디ㅏ. 걷고싶은부산을 그만두면서 환경교육센터 후배가 2013년 말까지 뒤를 이어 했지만 이후로 중단되었다. 그리고 가끔씩 정거.. 2015. 12. 7.
황령산 과수원 내 노거수 群 조사 11월 마지막 일요일 틈을 보던 황령산 과수원 내 노거수 군 조사를 단행했다. 과수원 주인의 사전 출입 동의를 구했지만 정작 출입은 이른바 개구멍을 통해서 이루어 졌다. 첫 대상지는 남구 문현1동 진남로 198번길 83에 소나무를 먼저 측정했다. 조계종 성암사 옆이다. 2014년 조사에는 성.. 2015. 11. 29.
2015 년 9차 마을터줏대감 나무 조사 -해가 너무 짧다 9차 조사는 기존 보호수를 중심으로 동선을 잡았다. 그동안 기존 보호수는 조사 대상에 넣지 않았다. 그 방침을 올해 3차조사 이후부터 수정했다. 조사가 막바지에 이르면서 부산지역 전체 노거수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예컨데 보호수는 보호수대로 마을터줏대감나무는 터줏.. 2015. 1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