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존/풀과 나무188

“장내미생물처럼 식물엔 뿌리미생물이 중요”(스크랩) 뿌리 근처 미생물, 뿌리와 상호작용 식물에 해로움 주기도, 이로움 주기도 유익균(프로바이오틱스) 찾기 과제 국내 연구진 ‘보디가드 유익균’ 발굴 토마토 풋마름병 막는 병저항성 지녀 생태균형 기반 미생물 농약비료가 목표 식물과 미생물.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미생물, 특히 세균.. 2018. 10. 16.
빙하기 때 내려온 멸종위기 ‘기생꽃’의 비밀(스크랩) 기생꽃은 앵초과에 속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식물로, 북반부 한대지방에 분포하는 대표적인 지표식물이다. | 환경부 제공 한국의 높은 산에 사는 멸종위기 야생화 ‘기생꽃’이 사는 곳은 달라도 유전적으로는 같은 ‘클론’으로 조사됐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원효식 .. 2018. 10. 14.
왜 핑크뮬리에 환장하나 핑크 뮬리 그라스[Pink Muhly Grass] 벼과 분홍 쥐꼬리새 . 쥐꼬리새 카피라리스 학명 Muhlenbergia capillaris ‘카필라리스’는 라틴어로 ‘머리카락 같은’이라는 뜻이다. 핑크뮬리는 벼나 보리처럼 열매를 싸고 있는 껍질의 끝부분에 털 모양처럼 자란 ‘까락’이 있다. 높이는 30~90cm, 너비는 60~9.. 2018. 10. 7.
한·일 ‘벚꽃 원조’ 논란 끝? 제주 왕벚나무 ‘탄생의 비밀’ 확인 한·일 ‘벚꽃 원조’ 논란 끝? 제주 왕벚나무 ‘탄생의 비밀’ 확인 국립수목원 제주·일 왕벚나무 게놈 분석 결과 “유전적 교류 없었다” 제주 왕벚나무는 올벚나무와 벚나무 1세대 잡종으로 탄생 확인 천연기념물 159호인 제주시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의 2호목과 꽃, 열매(삽입). 국.. 2018.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