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존/풀과 나무188 국립 백두대간 수목원에서 6.22~23 양일간에 결쳐 백두대간 수목원과 예천 곤충박물관, 문경새재를 다녀왓다. 부산지속가능발전위 산과 숲 분과 위원회 탐방행사에 자리가 비웠다길래 편승해서 다녀왔다. 오전 8시 부산시청에서 출발하여 점심무렵 봉화에 도착했다. 비가 예고 되었지만 하늘은 청명했다. 백두대간.. 2019. 6. 23. 털여뀌 털여뀌 Persicaria cochinchinensis 마디풀과 이명 : 홍료, 홍초, 노인장대, 붉은털여뀌 높이 약 2m이다. 줄기 전체에 긴 털이 나고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 심장형이며 길이 10∼26cm, 나비 7∼15cm이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 2019. 6. 19. 거침없는 양미역취 고민이 새롭다 2019. 6. 12. 생태교란식물 극성 낙동강 둔치 ‘초토화’ 생태교란식물 극성 낙동강 둔치 ‘초토화’ 11일 부산 강서구 대저생태공원 둔치 일대를 외래종인 양미역취가 뒤덮고 있다. 이재찬 기자 chan@ “이곳은 이제 생태계 화합이 아닌, 경합의 장이 돼 버린 지 오랩니다.” 환경부 지정 생태교란식물들이 낙동강 하구 둔치를 장악하고 있다. 그.. 2019. 6. 11. 이전 1 ··· 19 20 21 22 23 24 25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