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존/공원녹지436

갈맷길 정비 핑게로 널구지 공원(수영구 민락동)을 날린다고? 부산시 수영구 도심갈맷길 조성사업 추진현황 1. 보행환경 개선》편리하고 볼거리가 있는 사람중심 도심보행길 환경구축 ❍ 보행자 편의를 위한 공원 조성 및 쉼터 재정비 ❍ 보행자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도심 속 특색 있는 경관조명 설치 ❍ 다양한 색상패턴 도로포장으로 보행로 영역성 강조 ❍ 지역 관광 및 역사 콘텐츠를 포함하는 스마트한 키오스크 등 설치 2. 보행 연속성 개선》기존 갈맷길의 단절된 길을 해소하여 보행 연속성 제공 ❍ 해안 등 외관에 치우친 기존 갈맷길과 도심길의 연결을 통한 단절구간 개선 사업비 1,969백만원(시75% : 구25%) 추진경과 ❍ 21. 5. 17 부산시‘도심갈맷길 300리’조성 추진계획 ▷ 부산시 총 15개 구간 중 우리구 2개 구간 포함 ❍ 21. 6. 3 사업계획서 작성을 .. 2023. 11. 5.
황령상 북서사면 (마하사~ 전포 레포츠공원) 졸참나무와 사방오리나무의 연리목 팥배나무 흉고 91cm 흔치않다 그리고 키가 크다. 신갈나무 1.66m 그다지 크지 않지만 황령산의 서사면과는 구성 수종이 다르다. 일대의 숲을 이루는 주요 수종은 일단 예전 이곳의 상황을 알려주는 사방오리가 흔하게 보이는 가운데 일부 지역에는 야생화된 밤나무를 비롯하여 졸참나무와 사람주나무, 신갈나무, 굴피나무가 우점하고 계곡부에서는 아카시니무도 심심찮게 보인다. 토양은 매우 건조한 상태였다. 졸참나무군락, 잡았던 코스는 비교적 인적이 드문 길이다. 때죽나무 상처 아문 자리에 터잡은 향유 유난히 파리가 많았던 향유 군락지 단일 수종으로 조성된 인공숲과 자연천이가 이루어 지는 곳의 숲 형태와 종다양성은 확연하다 계절의 변화를 실감한다. 황령산 순환도로를 건너 간다. 전에 .. 2023. 11. 2.
황령산 은근 매력이 있다 2023. 10. 29.
예산낭비 산림파괴 벌목주의자들 -임도가 부족하다고 국내 산림 임도 태부족?···기준 통일해 계산하니 미국보다 2배 촘촘 지난 7월 말 경북 예천군 진평리에서 산사태가 시작됐던 지점의 임도. 윤미향 의원실 제공. 국내 산림의 임도가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 훨씬 촘촘하게 조성돼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산림청은 임도가 부족해 추가 건설을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실제와 다르다는 것이다. 7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윤미향 의원(무소속)이 산림청으로부터 제출받은 국내 임도 관련 자료와 해외 임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국내 임도의 면적당 밀도가 미국보다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국내 임도의 총 길이 2만4929㎞를 국내 산림면적인 628만6000㏊(헥타르)로 나눈 1㏊당 임도 밀도는 3.97m로, 미국(9.5m), 일본(23.5m), 오스.. 2023. 10.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