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상과 어울리기/칼럼 기고

함부로 손대지 마라

by 이성근 2019. 2. 15.


출처: 2030년 부산' s STORY 네이브 블로그


경제난을 타개한답시고 개발 계획이 우후죽순이다. 정부는 구시대의 전철을 다시 탔다. 문제가 있어 보여도 먹고 살아야 하지 않느냐며 못 본 척 함구하기를 바란다. 참 비겁하다. 너무 쉽게 뭉개고 너무 싶게 돈을 버는 데 익숙해서, 조금의 위기 징조가 보이면 나라가 망할 것처럼 야단이다.


환경 훼손·시민 반대에도 아랑곳 않고

경제난 타개 빌미로 개발 계획은 난무

 

광안리 케이블카·금정산 학교 추진도

해안 지형 교란·난개발로 이어질 우려


시방 우리는 골짜기를 향해 구르는 눈덩이와 같다. 눈덩이가 굴러 내릴수록 덩치는 커지지만, 종국에는 박살 난다. 이 비참한 결말은 고도성장의 함정이기도 하다. 구가하던 물질적 만족과 욕망의 배출이 주는 쾌락에 빠져 수없이 제기됐던 경고음이 들리지 않는 것이다. 그리되면 공멸이다. 멀쩡한 서민조차 돈이 권력이자 만사형통이란 최면에 걸렸다. 윤리고 도덕이고 양심은 안중에도 없다. “남들도 다하는데”라며 공범 되기에 주저함이 없다.


얼마나 잘 먹고 풍족해야 하는가. 얼마나 더 높이 올리고 더 많이 개발해야 만족할까. 그냥 둬도 잘사는데 구태여 재개발·재건축을 빙자해서 멀쩡한 동네를 밀어버리고 콘크리트 촌 만들기가 예사다. 꼭 그런 식으로밖에 못하느냐면 사업성이 없어서 그렇다고 한다. 유감스럽게도 그 사업성을 지켜주기 위해 그놈의 협력 체제는 어김없이 작동된다. 시민 반대가 분명한 곳도 끊임없이 공략한다. 몇 차례나 반려되거나 백지화된 곳도 보완이라는 절차를 거쳐 다시 제출한다. 돈이 되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광안리 해상케이블카 사업 같은 것이다. 사생활 침해며 교통영향 제고를 통해 기어코 따먹고야 말겠다는 집념 아닌 집념으로 다양한 우군을 만들어 들이민다. 항간에는 부산시와 수익금을 나누는 조건으로 내부 합의를 거쳤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어처구니없다. 승강장 부지야 어찌할 수 없다 해도 남장낙안(南場落雁)의 광안리 바다는 공유수면이다. 그 바다에 말뚝을 박고 케이블을 걸치는 순간 광안리와 수영 바다는 자본의 영역이 된다. 덤으로 일대의 경관 또한 이질화된다. 환경영향평가가 놓치고 시뮬레이션이 잡아내지 못한 문제는 나중엔 시민의 몫이 된다.


부산 해안의 인공화로 야기된 자연 해안 지형의 교란과 생태적 변화는 누구도 책임지지 않았다. 낙동강 하굿둑을 만들며 다대포 해변의 변화는 고려하지 않았다. 녹산·신호공단, 신항을 만들며 대두된 낙동강 하구역의 교란된 지형과 생물상 역시 마찬가지다.


세상이 어렵다고 황금알을 낳는 닭을 잡을 수는 없지 않은가. 부산에는 그런 황금 닭이 여러 곳에 산다. 그런데도 작금의 불황을 핑계 삼아 잡아먹기 위해 혈안이다. 도시공원 일몰 지역 중 한 곳인 금정산 장전공원에 특수학교를 고집하는 부산대학교 또한 목전의 이해에 함몰된 것 같다. 주지하다시피 금정산은 사유지가 80%를 넘는 산이긴 해도 지주가 함부로 건드리지 못하는 곳이다. 개발의 ‘개’ 자 만 꺼내도 득달같이 달려드는 시민의 항의와 반대가 불같이 이는 곳이기 때문이다. ‘부산의 진산’이란 수식이 그냥 붙은 게 아니다. 건드리면 내 몸과 정신이 망가지는 것과 같다는 공동체 의식이 자라잡고 있어 지금껏 건재한 것이다.


그 흠집을 부산대가 기어코 내려는 모양새다. 시민사회와 환경단체가 용납하지 않겠다고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강행하면 충돌은 불 보듯 뻔하다. 이참에 부산대에 직언하자면, 정말 재고하고 대안을 모색하라는 것이다. 개발을 강행하면 국유지 개발도 가능한데 사유지라고 개발하지 못하란 법이 없다는 형평성 논란과 더불어 도미노식 개발의 출구를 부산대가 연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그로부터 비롯되는 금정산 난개발의 책임은 전적으로 부산대가 짊어지고 가야 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부산시민은 그런 그림을 원치 않는다. 다들 함부로 손대지 마시라.  19. 2.15 부산일보 로컬터치 /  이성근/ 부산그린트러스트 상임이사



The Morning After (Maureen Mcgovern)   (1973)

 

  

                   출처: 2030년 부산' s STORY 네이브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