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존/풀과 나무

상약 중의 상약, 구기자

by 이성근 2014. 1. 11.

 

Lycium chinense 枸杞子 chinese matrimony vine 가지과

 

낙엽활엽관목으로 높이는 1~2m 정도이나 다른 물체에 기대어 자란 것은 4m까지 자란다. 줄기는 비스듬히 자라고 끝이 밑으로 처진다. 흔히 가시가 있으나 없는 것도 있다. 잔가지는 노란빛을 띤 회색이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는데, 여러 개가 뭉쳐나고 넓은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이 넓거나 좁으며 양면에 털이 없다. 잎자루의 길이는 1cm 정도이며 털이 없다.

 

6∼9월에 자줏빛 꽃이 1∼4개 잎겨드랑이에서 나와서 피고, 화관은 종 모양으로 5갈래로 갈라지며 끝이 뾰족하다. 작은꽃자루는 길이 3∼8mm이며 꽃받침은 3∼5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5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장과로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으로 8∼9월에 붉게 익는다.

 

 어린 잎은 나물로 쓰고 잎과 열매는 차로 달여 먹거나 술을 담그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가을에 열매와 뿌리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쓰는데, 열매를 말린 것을 구기자라 하고 뿌리껍질을 말린 것을 지골피(地骨皮)라 한다.

 도감류를 비롯하여 관련 소개책들은 마을근처 둑이나 냇가에서 자란다고 하나 부엽질이 많은 토양에서는 어디든 잘 자란다. 청양과 진도 등지에서는 대단위로 재배한다,

구기자는 가시가 헛개나무(구: 枸)와 비슷하고 줄기는 버드나무(기: 杞)와 비슷하여 두글자를 합쳐서 枸杞(구기)라고 불렀다고 한다.

옛 노나라에 전해내려오는 이야기로 높은 관리가 민정을 살피던 중 나이 어린 소녀가 회초리를 들고서 이빨이 다 빠지고 흰 수염이 난 노인을 쫓아다니는 이상한 광경을 보고 소녀에게 호통을 치니 소녀는 자기가 300살이요, 그 노인은 나의 증손자라 하였다. 소녀는 구기자를 먹어서 그렇다 대답하고 구기자 먹는 법을 관리에게 일러주니 "구기자는 1월에 뿌리를 캐서 2월에 달여 먹고 3월에는 줄기를 잘라서 4월에 달여 먹고 5월에 잎을 따서 6월에 차로 끓여 마시고 7월에는 꽃을 따서 8월에 달여 먹으며 9월에 과실을 따서 10월에 먹는데, 이와같이 구기자는 1년 내내 먹을 수 있습니다."하였다. 관리가 집으로 돌아와 구기자를 먹어보니 정말로 들은 대로 효험이 있었다.

 

한편 비슷한 내용으로 옛날 중국의 강서에서 한 사자가 길을 가던 중 나이 16~17세 가량 된 젊은 여인이 80노객의 종아리를 걷어 올리고 회초리로 매질하는 것을 보았다. 하도 기이한 생각이 들어 길을 가던 사자는 이 여인을 붙들고 연유를 물었다. 여인이 대답하여 가로되

“이놈은 내 셋째 아들이오. 그런데 약을 먹기 싫어해 이같이 때리는 것이요”라고 말했다. 더욱 기이한 생각이 든 사자는“대체 당신은 몇 살인데 이 노인더러 셋째 아들이라 이르오?”하고 물었다. 여인의 대답인즉 ”금년 내 나이 395세요“라고 대답했다.

“정말 당신의 나이가 395세라면 그처럼 늙지 않은 비결이 있을터인데 그 비결을 말해주시오”라고 간정했다. 여인의 대답은 너무나 쉬운 일이었다. 들에 자라는 구기자를 계속 먹은 일밖에 없다고 일러줬다. 사자는 집에 돌아가 그 여인이 일러 준대로 구기자를 매일 먹었다.

 

이 약은 냄새가 거의 없고 수렴성이며 약성은 약간 달고 차다.[甘寒] 어지럽고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으며 남자가 유정(遺精)하고, 임신을 못 시킬 때 사용한다. 음혈이 허약해 져 얼굴이 누렇고 머리털이 희어지며 잠을 못 이룰 때나 소갈증에 효과가 있다. 폐기 허약으로 인한 오랜 해수에도 사용한다.

 

신농본초(神農本草論론) 따르면 인간에 쓰는 약의 종류를 1년의 날수와 같은 365종으로 정하고 그 중 120종으로 상약, 다시 120종을 중야가 나머지 120종을 하약으로 구분하고 있다. 그 중 상약은 인간의 생명을 기르는 약이라 이름하고 경신내조하는데 쓰이는데 독이 없으므로 오래 먹을수록 좋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런데 구기자와 인삼은 상약에 속하는 것으로 구분해 있으며 그중에도 구기자는 상약중의 상약이라 오래 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가히 늙음을 이길 수 있다고 되어 있다. 동의보감의 구기자는 삼정환의 기본이고 구기자는 오래복용하면 늙지 않고 추위와 더위를 이기며 장수한다 라고 되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구기자 (문화콘텐츠닷컴 (문화원형백과 우리꽃 문화의 디지털 형상화 사업), 2010, 한국콘텐츠진흥원)

 

신농본초 이야기를 조금 더 풀어 보자면 상약 ,중약, 하약으로 증상별 약초를 분류하고 있다. 이 중 上藥 120종은 임금 君으로 독이 없고 많이 복용해도 사람을 상하게 하지 않는 것을 기준으로하고 中藥 120종은 신하의 지위로서 性善性惡이라 하여 독이 있고 없음을 구별하여 신중히 씀을 권하고 下藥 125종은 보좌하는 기능이 주된 것이다.

 

 

 

노래출처: 다음 블로그 아름다운  음악여행

As Tears Go By / Susan W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