털여뀌 Persicaria cochinchinensis 마디풀과
이명 : 홍료, 홍초, 노인장대, 붉은털여뀌
높이 약 2m이다. 줄기 전체에 긴 털이 나고 곧게 서며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거나 달걀 모양 심장형이며 길이 10∼26cm, 나비 7∼15cm이다.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잎자루가 길다. 턱잎은 잎집같이 생기고 막질(膜質:얇은 종이처럼 반투명한 것)이며 끝에 녹색의 작은잎이 달리기도 한다.
꽃은 7∼8월에 붉은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서 밑으로 처지는 수상꽃차례에 빽빽이 달린다. 꽃받침은 길이 3∼4mm이고 5개로 갈라지며, 수술은 8개로서 꽃받침보다 길다. 열매는 수과로서 둥근 쟁반처럼 생기고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꽃받침으로 싸인다.
동남아시아 원산의 귀화식물이다. 어린 잎은 식용하며, 관상용으로 심거나 포기 전체와 종자를 약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재배한다. 민간에서는 포기 전체를 이뇨·해열·진통 등에 약으로 쓴다.
이 친구들을 만난 곳은 서울숲 습지원에서 였다.
사진출처: ◀네이버 블로그 石泉의 들꽃 길 ▶네이브 카페 야생초사랑
몰라 몰라 몰라-화니씨스터즈 1972 /다음블로그 둔지마을
'공존 > 풀과 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북항 개발지의 생태교란 귀화식물들 (0) | 2019.06.27 |
---|---|
국립 백두대간 수목원에서 (0) | 2019.06.23 |
거침없는 양미역취 고민이 새롭다 (0) | 2019.06.12 |
생태교란식물 극성 낙동강 둔치 ‘초토화’ (0) | 2019.06.11 |
엄청 변해버린 일웅도에서 (0) | 2019.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