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 아니 많이 씁쓸하다. 의도와는 무관하게 행사의 배경과 목적이 실종됐다. 자정을 앞두고 나온 수십개의 보도 형태만 보면 ... 이럴려고 영화의 숲을 만들려고 한 건 아니다. 임권택 감독 , 배우 안성기, 예지원 . 장현성, 류현경씨 등 참여한 영화배우들에게는 고마움을 전하지만 결과적으로 부산 영화의 숲을 만들고자 한 목적과 지향하고자 한 정신이 빠진 영화의 숲 기사는 달갑지 않고 앞으로도 마주하고 싶지 않다. 다시말해 부산국제영화제의 가십(gossip)거리로 영화의 숲을 만들고 싶지 않다는 소리다.
부산그린트러스트 김경조 이사장의 인사말로 부산영화의 숲에 대한 바램을 대신한다.
여전히 코로나19가 세상을 지배하고 있는 아픈 세월입니다. 더 두려운 것은 기후재앙이라 일컷는 인류문명사적 위기입니다. 실제 지구촌 곳곳에서 시시각각 전해져 오는 환경재앙 뉴스는 일상이 된지 오래입니다.
이곳 APEC 나루공원에서 오늘 조성되는 영화의 숲은 그런 위기의 해소와 극복을 담은 탄소 저장숲으로 진화하기 위한 영화인들과 환경단체의 몸짓이라 할 수 있습니다.
지난해 이맘때 식재된 느티나무와 먼나무에 더해 올해는 팽나무를 준비 했습니다. 장수의 상징목이자 가지를 펼친 우람한 자태가 안온함과 생태경관적 평화를 제공하는 나무입니다. 그렇습니다
지금은 어렵고 힘든 날들이지만 영화의 숲에 뿌리내릴 저 나무들처럼 미래 세대와 더불어 희망을 나누는 날입니다. 저 개인적으로도 기후위기에 일조한다는 생각에 미래세대에 대한 부채감을 작으나마 덜 수 있어 참 기쁨니다.
더하여 부산국제영화제가 더욱 풍성해지는 계기이기도 합니다.
바라건데 부산 영화의 숲이 널리 알려지기를 희망합니다. 그리하여 내년에는 이곳 영화의 숲이 우리 시대의 미래에 대한 또 다른 희망의 상징이 되기를 소망합니다
BIFF 후원회 김은영 운영위원장의 배려로 영화의 숲에 나무 심으러 왔던 배우 류현경 주연 '요정' 시사회를 다녀왔다. 양산 사송 고리도룡뇽 세미나 관계로 상영 시간이 임박해 사전 검색 없이 허겁지겁 달려가 보았다.
나무심을 때 마스크로 얼굴 반쯤 가리고 눈섭선 까지 머리 싹뚝 자른(뱅 헤어라 하더라만) 작은 몸매의 류현경이 아니었다. 하루벌어 먹고 사는 보통사람의 일상으로 ...때로는 저거 남편하고 카페 수입의 원천을 다투는 치열한 삶을 살아내는데 ... 그 원천이라는 기 ...술 좋아하는 두 사람이 음주운전하다 신원 불명의 어린 사내를 차로 들이받으면서 이야기가 전개된다.
오갈데 없는 그 아는 교통사고를 불문에 붙이고 두 사람이 각기 따로 운영하는 카페를 오가며 일을 봐주며 그 집에 기거하는데 ... 그 아가 있고 없음에 따라 카페 수입이 표나게 차이가 난다. '요정'이란 영화 제목이 이쯤에서 윤곽을 드러낸다. 두 사람의 잔머리 싸움이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한편 전처와 언니의 삶에 실망과 갈등이 비집고 들어오지만 시나브로 그들은 그 모든 것을 이해하며 다시 하나가 되고, 요정은 사라진다.
그러니까 차에 살짝 치인 그 아가 요정이라 할 수 있는데 ... 배우들이 역을 잘 소화했고 무엇보다 류현경의 매력을 읽을 수 있었다. 보고 난 뒤 소감은 저 마다 달랐다. 아쉬운 건 코로나 3단계라 사람들과 술 한잔 나누지 못하고 서둘러 헤어진 거다. 그 허전함을 수영강 눈에 담으며 풀었다. 저어기 그 사람도
14.10.18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11월 (0) | 2021.12.01 |
---|---|
코로나 19와 묘사 그리고 방앗간에서 (0) | 2021.11.18 |
아버지 생신을 깜빡했다. (0) | 2021.10.22 |
21년 9월 (0) | 2021.10.02 |
21년 추석 (0) | 2021.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