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존/공원녹지

야행성 여름철새조사 3차 5.26~27 큰소쩍새 만나다

by 이성근 2018. 5. 27.












큰소쩍새[Collared Scops Owl] Otus bakkamoena Pennant, 1769

천연기념물 제324-7

큰소쩍새는 전장 24정도이다. 아시아에 분포한다. 아종 ussuriensis는 중국 동부와 동북부에서 시베리아 동남부와 한국까지 분포하며, 아종 semitorques은 사할린, 쿠릴 열도, 일본, 제주도에 분포한다. 우수리, 중국 동북지방 남부와 동부, 중국 중부, 사할린, 한국에 분포한다.

평지나 산지의 인가 부근 숲, 또는 절 주변의 숲에서 생활하며, 밤에 활동을 한다. 사람이 접근해도 잘 날지 않으며, 부리로 딱딱 소리를 내며 위협한다.

 

둥지로는 나무 구멍이나 건물의 처마 밑을 이용한다. 알을 낳는 시기는 5~6월이다. 알은 흰색이며, 4~5개 낳는다.

 

올빼미와 부엉이류는 오염된 먹이로 인해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으며 번식지를 비롯한 월동지와 서식지의 파괴, 인간에 의한 마구잡이 등의 원인으로 나날이 그 수가 감소하고 있다. 올빼미와 부엉이류는 국제적으로 보호되고 있는 새들로서 우리나라에서도 10종 중 7종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사진출처:  생태보전시민모임 17.9.11 고미화 니고데의 자연사랑 nygode.tistory.com/4638 2015.05.29.

 

구분

크기

홍채색

발가락깃털

유무

뒷목 회백색 반점유무

도래유형

소쩍새

수컷: 18cm

암컷: 20cm

노란색

여름철새

(4~10)

큰소쩍새

수컷: 22cm

암컷:24~25cm

오랜지색

텃새

겨울철세

 

 







Bring It on Home To Me - Otis Redding & Etta Ja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