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미(348052)의 식물상
- 천황산 - 홍행화·서승용 (광주교육대·전남대)
요 약
① 조사지역내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총 115 과, 275 속, 367 종, 29 변종, 2 아종, 4 품종, 총 402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②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은 확인되지 않았다. ③ 이 지역 내에 서식하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은 V 등급종은 자리공, 약모밀, 애기등 등 3 분류군, IV 등급종은 측백나무(식재), 등(식재), 녹나무, 흰비늘고사리, 좀도깨비사초, 흰비늘고사리 등 5분류군, Ⅲ등급종 낭아초 등 16 분류군, Ⅱ등급종 실거리나무 등 15 분류군, I 등급종 개족도리풀 등42 분류군이 조사되었다. ④ 한반도 고유종은 개나리(식재), 새끼노루귀, 은꿩의다리, 좀비비추, 개족도리풀, 해변사리, 병꽃나무등 7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⑤ 국가적색목록은 LC(관심대상)종에 새박, 측백나무(식재), 애기등, 보춘화 등 4 분류군을 확인하였고EN(위기)종과 VU(취약)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⑥ 생태계교란식물은 서양금혼초의 1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⑦ 외래종은 땅꽈리, 컴프리 등의 27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서 론
환경부 주관의 제 4 차 전국자연환경 조사의 일환으로 두미지역(도엽번호 3348052) 의 식물상 분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관속식물 이상의 고등식물을 조사하였다. 두미지역은 경상남도 통영시에 속하고, 두미도, 상노대도, 하노대도 등과 몇 개의 부속도서로 되어있는데, 본 조사에서는 두미도, 상노대도, 하노대도만 국한하여 조사하였다. 두미도의 식물상 조사는 이일구 등(1981)이 두미도의 식물상에관한 생태학적 연구를 발표한 바 있으며, 제 3 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도재화 등(2010)에 의해 104 과272 속 320 종 1 아종 54 변종 6 품종 1 잡종의 총 387 분류군의 관속식물이 발표된 바 있다. 이 지역의 대표산으로 천황산(468.5m)을 선정하였는데, 이는 두미도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기 때문이며 해안지역에 대한 조사도 실시하여 두미도엽의 전반적인 식물상을 반영하였다
결 과
1. 두미도(348052) 일대의 식물상
조사지역에서 관찰된 관속식물은 총 115 과, 275 속, 367 종, 29 변종, 2 아종, 4 품종, 총 402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두미도에서는 구실잣밤나무, 메밀잣밤나무, 감탕나무, 생달나무, 우묵사스레피나무, 천선과나무, 다정큼나무, 돈나무 등 난대성 식물이 있었고, 청석 마을, 순천 마을 주변으로 면적은 상이하나 동백나무림이 잘 보존되어 있었으며, 남구마을(구전) 마을의 산지쪽 등산로 능선에는 황칠나무 유목이 식재되어 있었다. 두미리 북구마을(학리)에서 고운마을로 이어지는 임도 주변에서 닥풀(재배식물) 몇 개체가산재해서 자생하고 두미도 남쪽 대관마을 부근 임도 주변의 햇빛이 잘 드는 노출된 암반에 우단일엽 두 집단이 발견되었다.
상노대와 하노대에서는 메밀잣밤나무, 생달나무, 새덕나무, 실거리나무, 천선과나무 등 난대성 식물이 있었고 해안가로 갯까치수염, 번행초, 털머위 등이 있었다. 상노대의 상리마을 위쪽의 넓은 휴경지에 소리쟁이, 컴프리 등이 군락을 이루고 있는 것이 함께 발견되었다.
2. 주요 식물종의 기재
두미도엽에서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V 등급종은 자리공, 약모밀, 애기등 등 3 분류군, IV 등급종은 측백나무(식재), 등(식재), 녹나무, 흰비늘고사리, 좀도깨비사초, 흰비늘고사리 등 5 분류군, Ⅲ등급종 낭아초 등 16 분류군, Ⅱ등급종 실거리나무 등 15 분류군, I 등급종 개족도리풀 등 42 분류군이 생육하는 것이 확인되었다(표 2).
한반도 고유종은 개나리(식재), 새끼노루귀, 은꿩의다리, 좀비비추, 개족도리풀, 해변사리, 병꽃나무등 7 분류군이 확인되었다(표 3).
국가적색목록은 LC(관심대상)종에 새박, 측백나무, 애기등, 보춘화 등 4 분류군을 확인하였고 EN(위기)종과 VU(취약)종은 확인되지 않았다(표 4).
생태계교란식물은 서양금혼초의 1 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표 5), 외래종은 땅꽈리, 컴프리 등의 27 분류군을 확인하였다. 표 2.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종 분포현황
등급 국명 (분류군 수) 종수 비고Ⅴ 자리공, 약모밀, 애기등 3Ⅳ
측백나무(식재), 등(식재), 녹나무, 흰비늘고사리, 좀도깨비사로, 흰비늘고사리 5
2018년 제4차 전국자연환경조사
- 4 -
표 3. 고유종 분포현황
번호 학명 국명 분포지 비고
1 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개나리 산지_임도 식재
2 Hepatica insularis Nakai 새끼노루귀 산지
3 Thalictrum actaefolium var. brevistylum Nakai 은꿩의다리 산지
4 Hosta minor (Baker) Nakai 좀비비추 숲 가장자리
5 Asarum maculatum Nakai 개족도리풀 산지
6 Lespedeza maritima Nakai 해변싸리 산지_임도
7 Weigela subsessilis (Nakai) L. H. Bailey 병꽃나무 숲 가장자리
표 4. 국가적색목록 분포현황
번호 학명 국명 분포지 범주 비고
1 Melothria japonica (Thunb.) Maxim. ex Cogn. 새박 해안 LC
2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측백나무 산지-임도 LC 식재
3 Wisteria japonica Siebold & Zucc. 애기등 산지 LC
4 Cymbidium goeringii (Rchb. f.) Rchb. f. 보춘화 산지 LC
표 5. 생태계교란야생식물 분포현황
번호 학명 국명 분포지 비고
1 Hypochaeris radicata (Thunb.) Franch. & Sav. 서양금혼초 휴경지(밭) 생태계교란식물
등급 국명 (분류군 수) 종수 비고
Ⅲ털머위, 모람, 감탕나무, 황칠나무, 노랑하늘타리, 천문동, 맥도딸기, 상동나무, 새덕이, 생달나무, 육박나무, 산우드풀, 머귀나무, 참가시나무, 낭아초, 산기장16
Ⅱ
굴거리나무, 다정큼나무, 실거리나무, 멀꿀, 층꽃나무, 방울비짜루, 두루미천남성, 좀딱취, 진황정, 좁은잎천선과나무, 방기, 개산초, 황벽나무, 우묵사스레피나무, 새박 15
Ⅰ
개족도리풀, 메밀잣밤나무, 구실잣밤나무, 사스레피나무, 갯까치수염, 실고사리, 갯장구채, 천선과나무, 보리밥나무, 부추(식재), 말털이슬, 광나무, 갯메꽃, 예덕나무, 촉나무, 참느릅나무, 나도밤나무, 합다리나무, 홍지네고사리, 말오줌때, 바위고사리, 애기일엽초, 옥녀꽃대, 장딸기, 큰봉의꼬리, 번행초, 일월비비추, 돈나무, 사철나무, 해국, 자금우, 상산, 남오미자, 참식나무, 콩짜개덩굴, 큰천남성, 동백나무, 봉의꼬리, 송악, 후박나무, 까마귀쪽나무, 좀비비추42
두미(348052)의 식물상
- 5 -
이들 중 주요종에 대한 상세한 분포 및 생육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자리공(Phytolacca acinosa Roxb.) :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 등급이다. 키 1 m 정도의 다년초로 전체에 털이 없고 뿌리는 비대하여 덩어리로 되며, 꽃은 총상화서에 흰색이다. 자리공의 심피가 8 개이고 열매이삭이 처지지 않는 특징이 미국자리공의 심피가 10 개이고 열매이삭이 처지는 점과 달라서 두 종이 구분된다. 두미리의 대관마을과 청석마을 사이의 임도 주변에 3 개체가 산재해 있고 그 중 2 개체가 개화와 결실이 가능한 개체였다.
2)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 :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 등급으로 습지에서 잘 번식한다. 본 조사에서는 여름 조사 시기에 두미리 북구마을(학리)에서 고운마을로 이어지는 임도에서 다양한 성장 단계를 보이는 개체들이 군집한 한 개의 군락이 발견되었다. 임도 주변의 폐가와 이어진 길가에서 20 여 개체가 관찰되었으나 가을 조사에서 사람의 출입을 용이하기 위한 벌초 작업을 통해 지상부는 훼손된 상태로 관찰되었다. 3) 애기등(Wisteria japonica Siebold & Zucc.) :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V 등급이자 국가 적색목록 LC(관심대상)종이다. 두미도, 상노대도, 하노대도에서 확인되었고 길가, 밭뚝, 초원 등에 많이 분포하고 임연부와 능선에서 군락을 이루어 분포하고 있다. 현재 개체수에 비해 생식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개체는 많지 않으나 총상화서에 달리는 백색의 꽃과 향기가 관광객 및 등산객의 관심을 받게 될 경우 쉽게 훼손될 가능성이 높은 식물이지만 두미도는 등산객보다는 낚시꾼들의 방문이 더 많은 섬으로 특별히 서식지 주변에 변화가 있지 않은 한 지속적으로 군락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3. 선행연구결과와의 비교
제 3 차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도재화 등(2010)에 의해 104 과 272 속 320 종 1 아종 54 변종 6 품종 1잡종의 총 387 분류군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밝혔다. 본 조사에서는 총 115 과, 275 속, 367 종, 29 변종, 2 아종, 4 품종, 총 402 분류군으로 이전보다 15 분류군이 늘어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조사자간 조사시기와 조사 관점, 조사 지역의 차이에 따른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전 조사에서 분포하는 것으로 밝혀졌던 나도고사리삼, 가는쇠고사리, 검은개선갈퀴, 두메층층이, 덩굴곽향, 은난초, 꼬마은난초 등이 본 조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우단일엽, 흰비늘고사리, 녹나무, 새덕이, 노루귀, 새 박 등이 본 조사를 통해 목록에 추가되었다.
특이사항
두미도 및 상노대도에는 멧돼지 및 염소의 출입을 막기 위해 경작지 및 산지 주변으로 철망과 그물이 높고 길게 쳐져 있다. 섬 전체가 하나의 구릉으로 이루어져 있고 동쪽과 북쪽의 일부를 제외하면급사면으로 되어 있어 사구성 식물은 관찰되지 않으나 해양성 기후 때문에 동백나무 군락은 잘 보존되어 있다. 바다낚시터로 유명하고 등산객을 위한 등산로를 정비해 두었으나 등산객의 수가 많지 않아 등산로 주변에서는 생태계교란 및 외래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탐문조사에 의하면 두미도 절벽에 소수 개체의 석곡이 서식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관찰되지수 개체의 석곡이 서식하는 것으로 생각되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향후 정밀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길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리에서 신리 -환경의날 1일차 (0) | 2024.06.05 |
---|---|
bonte Museum 외 (0) | 2022.02.21 |
다시 남사 예담촌에서 (0) | 2021.07.26 |
남해파랑길 장승포 윤개공원 (0) | 2021.03.01 |
동양달팽이와 같이 걸었던 두미도 (0) | 2020.0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