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길에서/오래된 미래

금정산 장전공원 일원 3차 노거수 조사

by 이성근 2019. 1. 29.


금정산 장전공원 3차 산지노거수 조사를 다녀왔다. 지난 주말 도시공원 일몰지역 내셔널 트러스트 홍보영상물 촬영차 갔다가 눈여겨 봐두었던 나무들로서 삼밭골 아래쪽 계곡이다. 이곳 역시 산성로를 기준으로 가시권 안에 있는 노거수를 대상으로 했다.

도로변 어림짐작 2m 재어 보니 2.1 이다. 얼추 맞았다.  

이 나무는 재지 못했다. 나무의 뒸쪽이 급경사였기 때문이다.  가끔 이런 나무를 만난다. 그러고 보니 암남공원 그 곰솔도 그렇다.  위태롭지만 뿌리를 단단히 내렸다.  다른 나무가 뿌리 내리지 못한 곳의 삶이 열악할 것이란  생각은 은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의 시선이다.  의외로 이런 곳의 나무는 벼랑끝 전술로서 간섭을 줄이고  일조량도 풍부하여 살만한  편이다.   직경 80cm를  훌쩍 뛰어 넘는다.  기부는 0.5 남짓  두 줄기의 흉고도 꽤 될 것으로 본다.

첫번째 나무에서 이 나무까지의 거리는 10m 남짓,  첫번째 곰솔이 자리한 곳은 차길이 휘어지면서 차 한두대가 주차할만한 공간이 있다.  그런데 펜스를 넘어서면 온갖 쓰레기들이 나뒹군다.  일상적 무단 투기가  일어나고 있음이다.  주로 차량 이용자들이다.    

암반지대를 내려서면  흉고 2.5 m 곰솔 한그루 우뚝하니 서 있다.  일대 비탈에서는 으뜸이다.

조사후 곡각지점 소나무를 측정했다


삼밭골 아래 계곡부를 조사하게 만든 나무다.

교각 아래에서 구름다리 방면, 좌측 사면  10m 기준으로  2.5~3이상의 소나무들이  많이 보이는 곳이다.  우측 보다는 좌측이 훨씬 많다.  결과적으로 두 지역을 아울러 수림지로 지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거기 어떤 동물의 발지국이 있어 유심히 실펴 보았다. 고양이 ?

곡각지점 소나무 두 그루다.

이 나무들이 나를 불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노거수에 관심이 없다면 나  역시 그냥 좀 크게 보인다는 정도의 인식 이상도 아니었을 것이다.   

소나무에 더부살이하는 이끼들도 예사롭지 않다. 솔이끼류? 찾아 볼일이다.

일대에는 곰솔과 소나무가  혼재한다. 그렇지만 열에 일곱은 곰솔이다.   여기서 수영강 하구까지는 10km가 넘는다.  수백년 전에는 상황이 딜랐다. 거의 절반 거리에 해당하는 연산동 이섭교 앞까지 바닷물이 존재했다고 보면 곰솔의 분포를 가늠할 수 있다. 





































1953년 종합대학교로 승격한 부산대학교는 1954년 금정산 동쪽 기숡 약 50만평에 일는 장전동 부지를 확보하고 12월 효원교사 신축 기공식식을 가졌다.

이후 1955년 운동장과 야구장, 1956년 공과대학 본관 도서관 도사관, 박물관 1957 공학관 대강당 준공 1959년 인문관 1960 가정학관 1965 약학관(현 제5 공학관) 약학과 1961 문창회관 1964 여학생 생활관 1966 중앙또서관 개관 여학생 기숙사 1971 문창회관 신축 1973 공대실험관 1974 2과학관 기계금속실험관 1974(현 제3공학관) 사범대 부속고등학교 교사(현 제8공학관) 1975 실내체육관 지구과학관신축 착공 공과대 실험관 신축공사 착공 1978 외인교수아파트

 

1981 약학대학 신축 준공 1982 운동장 외곽도로 개통/ 구본관옆 계곡 미리내골 명명

1983 가정관 신축 준공 / 기숙사 A동 완공 1984 예술관 완공 / 인문사회관 완공

1987 학생기숙사 관리동 준공 /신축학생회관 1동 완공

1988 기계기술연구동 준공 학생회관 완공 1989 연구도서관 착공

 

1990 효원재 1991 인덕기념관 /자연대 연구실함동 기공 1993 보육종학센터 기공

1995 보육종합센터 1996 대학본부동 (구 본관은 인문대학 전용 건물로 )

1998 상남국제회관 1999 공동실험실습관/산학협동관 / 공동연구소동

2001대학생활원 선박예인수조시험연구동(수조동. 1974 >2002 개축)

 

2006 2법학관 건립 기공 2007 1교수연구동 준공 2008 음악관 준공

2009 효원문회회관 준공 경암체육관 스포츠센터 개장 / 웅비관 (새기숙사)

2010 의생명과학도서관/ 건설관 준공 2012 국제관 신축 2014 조형관 준공 했다.

 



















     1981년                                                                                                       1970년대                                               사진출처: 부산대 70년사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