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존/지역과 마을

양산 동면 내송리에서

이성근 2021. 5. 3. 20:47

 

사진출처: https://blog.daum.net/bluesunsky/15959368 2012.8 

내송마을은 옛날 마을 주변 곳곳에 아름드리 소나무가 많고 놀기좋은 정자가 군데군데 있어 '송정골'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송정골 안에 있는 마을이라 해 '內松'이라고 이름했다한다. 성촌시기는 1500년대로 알려지고 있다. 450년전 평해 , 인동 씨가 정착해 마을을 형성했고, 그 후 경주 , 김해 , 순흥 , 함안 , 달성 씨 등이 입촌해 살아왔으며 지금은 많은 姓氏가 모여 마을을 이루고 있다. 마을에서 양산 쪽으로 마을 입구에는 신라 초엽에 가야국 수로왕이 와서 잠깐 쉬어갔다는 곳이 훨왕대라 해 남아있고 그 한쪽에는 정전봉이 있고 정전암이 있다. 임진왜란 때 동래에서 양산 쪽으로 전진하는 왜병을 이곳에 사는 환선 장사가 갱이로 오는 쪽쪽 죽여 전진을 못했다. 그래서 정진 바위라고 한다. 지금은 도로 개설로 흔적도 찾지 못한다. 지방 무형 문화재 한량춤의 보유자 김득명 씨가 태어난 곳이기도 하다.

 

지명 유래

1) 훨왕대- 기록에 의하면 서기 96910월경에 가야국 수로왕이 신라와 가락이 전쟁중일 때 왕이 와서 쉬어 갔다해 훨왕대라 한 곳이다.

2) 전지암- 임란때 황선 장사가 전진하는 왜병사를 오는 족족 죽여 전진을 못하게 했던 곳이다. 길은 외길이요 바위를 돌아오는 길목이라 우회할 수 없는 지형인 곳이었다. 지금은 1077국도 확장으로 없어졌다.

3) 오수정午睡亭

- 동면 내송마을 동쪽 약1km지점 동쪽 계곡을 따라 올라가면 맑은 물이 흐르고 그 위 200m 지점에는 폭포가 있고 그 곳에 정자를 지어 오수정(午睡亭)이라 하였다. 지금도 그 글자가 바위에 새겨져 남아있다.

양산 동면 사송지구 개발 피해 호소

주민들 재산권 침해·소음 주장

 

양산 동면 사송 공공주택지구 개발에 따른 피해를 호소하는 주민들이 비상대책위를 꾸리고 집단행동에 나섰다.

 

2일 동면행정복지센터에서 열린 '양산사송 공공주택지구 공사피해 비상대책위'(위원장 김남수·이하 비대위) 출범식에는 내송마을 주민 5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지난 2월 공사에 들어간 사송 공공주택지구 개발로 인해 정신적·물질적 피해를 보고 있다며 시행사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시공사인 태영컨소시엄을 상대로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비대위는 "1972년 국토종합개발계획에 의해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후 지금까지 사유재산권을 침해받아 오다 2005년 이 지역 토지를 강제 수용해 택지지구로 개발하면서 또다시 피해를 받고 있다""날림먼지와 소음 등에 아무 대책도 없이 강행하는 공사를 즉각 중단하라"고 주장했다.

 

비대위는 내송마을 이주대책 수립 전답 강제수용에 따른 생계대책 마련 생존권 무시한 공사 강행 중단 등을 LH와 태영컨소시엄에 요구하며 물리력 행사도 마다치 않겠다는 태도여서 앞으로 갈등을 예고했다. 특히, 비대위는 LH가 개발 계획을 변경하면서 마을 경계지역에 예정돼 있던 근린생활시설·녹지 구간을 아파트 용지로 바꿔 저지대인 마을이 조망권과 재산권 침해를 받게 됐다고 반발하고 있다./경남 도민일보 20180503

 

", 동네가 온통 먼지구뎅이 아닌교!"

양산시 동면 내송마을 주민에게 올해 봄은 흙먼지와 전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이 됐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사송택지개발사업을 진행하면서 공사장으로 변해버린 마을 옆 빈터에서 바람을 타고 흙먼지가 끊임없이 날아들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지난달 말에는 강풍이 불면서 소용돌이치듯 흙먼지가 일어나 마을을 덮치기도 했다.

 

사송택지개발사업은 LH가 내년 말까지 9959억 원을 들여 동면 사송리 일대 276터에 신도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이곳은 단독주택 430가구와 공동주택 14463가구 등 모두 14893가구 37058명을 수용할 예정이다.

 

지난해 2월 개발계획 승인 후 13년 만에 첫 삽을 뜬 택지개발사업은 시작부터 내송마을 주민과 갈등을 빚었다. 애초 계획과 달리 내송천을 경계로 마을과 맞닿아 있는 사업부지를 LH가 근린생활시설·녹지 대신 아파트 용지로 바꿔 저지대인 마을이 조망권과 재산권 침해를 받게 됐다고 반발해왔다.

 

주민들은 '양산사송 공공주택지구 공사피해 비상대책위'(위원장 김남수·이하 비대위)를 구성해 내송마을 이주대책 수립 전답 강제수용에 따른 생계대책 마련 생존권 무시한 공사 강행 중단 등을 요구하기도 했다./경남 도민일보 2019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