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과 어울리기/뉴스타파

부동산 폭등, 진짜 이유는?

이성근 2018. 9. 22. 12:52

1. 부동산, 언제부터 얼마나 올랐나?

2. 폭등 원인, 공급부족인가 투기인가?

3. 종부세 인상, 효과 있을까?

4.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철학은?

5. 바람직한 부동산 정책의 방향은?


       GDP 1600조의 20~25%


2008~2014 전반적 불경기 > 경기회복 신규 투자처  물색 

이명박근혜정부 부동산 부양책의 누적효과 (저금리, 대출완화. 규제완화, 보유세 파괴 > 惡의 씨 배양


수용공급론 대 투기론

수요는 많은데 공급은 부족해서 발생한다

특정 세력이 시장을 교란해서 발생한다.

주택담보대출 증가추이  2008년 311조 > 2016년 514조  이명박 정권 5년간 93조 , 박근혜 정권 4년 114조 증가

 빚내어  집사고 있는 사람 또 사고 >>> 가격상승

 최경환  노이초믹스

지방투기자금의 서울회귀


사회적 서비스 인프라를 통해 이익이 발생하여 돈을 벌었는데 그 세금을 내지 않겠다고 한다면


응능세와 응익세

응능세-자산이나 소득 등 능력에 따라 내는 세금

응익세-헤택을 받는 사람이 내는 세금

         기타 -가격담합 규제. 공급확대

참여정부와 문재인정부의 부동산 정책

참여정부-부동산공화국, 지대추구사회   혁파 로드맵이 있었다. 반면 문정부의 부동산정책에는 그런 개혁의지가 없거나 불투명하다. 


GDP의20~25% 부동산 불로소득이 차지 한다는 것은 문재인정부가 내세우는 소득주도, 혁신.공정경제를 허망하게 만드는 일 

사회가 필사적으로 일해서 가치를 만들어 내는데 그이익을 소수의 부동산 자산가들이 독점하는 세상은 단순히 부의 불평등과 양극화 차원을 넘어 대한민국 지속가능성의 문제로 귀결된다.  출산율 급감의 가장 큰 원인이 부동산에서 출발한다.  출산율이 급감한다는 것은 그 사회가 죽어 간다는  것이다.